[수능 경제] 외환 시장과 환율 - IV. 세계 시장과 교역

수능 경제

IV. 세계 시장과 교역

02. 외환 시장과 환율

*성취기준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되는 과정과 환율 변동이 국가 경제 및 개인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가. 외환 시장과 환율

외환 시장: 외환 거래가 이루어지는 모든 장소

환율: 자국 화폐와 외국 화폐의 교환 비율

 

환율 하락 > 원화 강세

환율 상승 > 원화 약세

 

외화의 수요와 공급

수요 외화가 해외로 유출되는 경우
상품 수입 대금의 결제, 해외 여행, 해외 유학, 해외 투자, 외채 상환 등
공급 외화가 국내로 유입되는 경우
상품 수출 대금의 수취, 외국인의 국내 여행, 외국인의 국내 투자, 해외 취업자가 국내로 자금 송금 등

 

환율의 결정과 변동

균형 환율의 결정

외화 공급량 > 외화 수요량의 경우

외화의 초과 공급 상태 > 외화의 가치 하락 (환율 하락)

 

외화 공급량 < 외화 수요량의 경우

외화의 초과 수요 상태 > 외화의 가치 상승 (환율 상승)

 

외화 공급량 = 외화 수요량 > 균형 환율의 결정

 

환율의 변동

외화 수요 곡선의 변동 외화 공급 곡선의 변동
D0 > D1 수입 증가(외화 유출), 해외 투자 증가 등: 외화 수요 증가, 환율 상승
D0 > D2 수입 감소, 해외 투자 감소 등: 외화 수요 감소, 환율 감소
S0 > S1 수출 증가(외화 유입), 외국인 국내 투자 증가 등
외화 공급 증가, 환율 감소
S0 > S2 수출 감소, 외국인의 국내 투자 감소 등
외화 공급 감소, 환율 상승

 

환율 변동의 경제적 효과

구분 환율 상승
수출 수출품의 외화 표시 가격 하락 > 수출 증가
수입 수입품의 원화 표시 가격 상승 > 수입 감소
통화량 수출 증가, 수입 감소로 외화의 순유입액 증가 > 통화량 증가
국내 물가 통화량 증가 > 물가 상승
수입품의 가격 상승으로 수입 물가 상승
원유 및 국제 원자재의 수입 가격 상승으로 생산비가 높아져 물가 상승
외채 상환 부담 외채 상환 부담 증가

 

환율 제도

변동환율제도: 외화의 수요와 공급에 의해 환율이 자유롭게 결정되는 제도, 환율 변동의 불확실성이 국내 경제의 불안정을 초래할 수 있다.

고정환율제도: 정부, 중앙은행이 환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는 제도, 인위적 환율 조정으로 무역 분쟁의 발생 우려가 있다.

 

3국 이상의 통화 비교

원/달러 환율이 하락하고 엔/달러 환율이 상승했다면 달러화 가치에 대해 원화 가치는 상승한 것이고 엔화 가치는 하락한 것이므로 원/엔 환율은 하락할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