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계산기] 재무 진단하기 사용 방법: 현재 나의 재무 등급 확인하기

재무상태 진단하기

 

금융 계산기

 

fi-calculator.netlify.app

 

기본 정보

나이: 연령별로 보유한 자산에 따라 등급이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자산이 많아지기 때문에 나이에 따라 다른 기준을 적용합니다.

가구원 수: 가구원 수에 따라서 재무 진단이 달라집니다. 혼자 사는 200만원을 버는 사람보다 500만원 버는 4인 가구가 더 재정적으로 어려울 수 있습니다.

 

소득 정보

일반적으로 근로소득보다 금융소득이 많은 사람이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을 확률이 높습니다. 사업소득보다는 근로소득이 더 안정적입니다. 소득의 종류에 따라 소득의 신뢰도가 달라집니다.

 

지출 정보

저축이 많은 경우 올바른 지출을 하고 있다고 판단합니다. 보험료는 많으면 좋지만 일정 수준의 이상이 된다면 오히려 재정상태를 악화시키는 요인입니다. 투자와 저축은 엄연히 다른 지출이며 저축은 안정성이 투자는 성장성이 높은 특징이 있습니다. 월 대출 상환액이 높다는 것은 이미 상황이 좋지 않음을 나타냅니다.

 

월 생활비는 위의 항목을 제외한 모든 지출의 합을 의미합니다.

 

자산 정보

자산군 마다 특징이 다릅니다. 현금성 자산은 안정성, 투자성 자산은 성장성이 좋고 부동산 자산은 유동성에 문제가 있습니다. 실물 자산 중 차나 금이나 보석류, 골프회원권 등은 자산에 해당합니다. 다만 차는 감가상각된 금액을 자산으로 해야합니다.

 

부채 정보

부채는 장기와 중장기로 나눕니다. 일반적으로 단기는 1년이내의 부채를 의미합니다. 할부금이나 현금서비스 등으로 이용한 금액은 단기 부채에 해당합니다. 나머지 부채는 모두 중장기 부채에 해당합니다.

정보를 입력하면 가계수지상태표, 자산상태표로 정리되어 나옵니다.

 

재무진단결과는 총 100점 만점에 마이너스 점수도 존재합니다. 자산보다 부채가 많고 소득보다 지출이 많으면 마이너스 점수가 나올수도 있습니다.

 

모든 평가는 평균대비 어느 수준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100%가 평균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만약 소득이 200%로 나왔다면 평균보다 2배의 소득을 얻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50%가 나온다면 평균보다 1/2의 소득을 얻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소득, 순자산은 높게 나올수록 좋은 점수를 받습니다. 부채, 부채비율, 가계수지비율은 낮게 나올수록 좋은 점수를 받습니다.

 

평균 대비 상위 10%는 S 등급부터 A, B, C, D, F등급으로 나눠져서 나오게 됩니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나이만 빼고 동일한 정보를 입력해도 점수와 등급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나이에 따라 가구원 수에 따라 점수와 등급이 변하게 됩니다.

 

*진단결과가 F등급이 나온다면 상황이 많이 좋지 않음을 의미합니다. 만약 F등급이 나왔다면 재무관리에 대한 진지하고 신속한 대책을 세워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