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마주] 양자 컴퓨터 관련주 및 양자 보안 관련주 5종목 추천

1. 한국첨단소재

가. 양자암호통신 및 차세대 기술
마이켈슨 간섭계 개발: 양자암호통신에 필요한 핵심 기술로, 1ns 광지연길이를 갖는 간섭계 개발 완료했습니다.
양자암호통신은 보안 문제 해결을 위한 차세대 기술로 국가 기간망 구축에 필수적입니다.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 기술: 실리카/실리콘 AWG형 광전소자 개발 및 고집적 센서 시스템 설계합니다. 고기능성 센서 시스템을 통해 광통신 및 센싱 분야에서 응용 가능합니다.

 

나. 한국첨단소재와의 관련성
한국첨단소재의 역할: 광통신 부품 제조사로서, 고성능 광소자 및 모듈 개발 역량 보유하고 있습니다.
양자암호통신 및 차세대 광통신 기술에 필요한 부품 제조와 공정 최적화 기술을 보유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양자컴퓨팅과의 연관성: 한국첨단소재는 양자컴퓨팅 및 양자암호통신 분야의 부품 제조 기술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실리콘 포토닉스 기술과 AWG형 광전소자 개발은 양자암호통신 및 광컴퓨팅 응용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시장 기회: 양자암호통신 기술이 보안 및 데이터 전송 분야에서 핵심 기술로 자리 잡으며, 관련 부품 수요 증가 예상됩니다. 한국첨단소재는 이러한 시장 확대에 맞춰 관련 제품 개발 및 상용화 가능성을 모색 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2. LG 전자

IBM과의 양자컴퓨팅 개발 협력 요약
가. 협력 배경 및 목표
협력 체결: 2022년 1월, 당사는 IBM과 양자컴퓨팅 발전 및 기술 개발을 위한 협력 체결을 했습니다.
IBM 퀀텀 네트워크 가입: IBM이 주도하는 글로벌 협력체(170여 회원사) 가입으로 양자컴퓨팅 기술 개발 및 응용 가속화합니다.
목표: 양자컴퓨팅을 활용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 IoT, 로봇 등 다양한 미래 기술 분야에서 데이터 처리 역량 강화합니다.

 

나. 양자컴퓨팅의 특성 및 활용 분야
양자컴퓨팅 특성: 기존 컴퓨터의 비트(bit) 단위(0과 1) 대신 큐비트(Qubit)를 사용해 중첩(superposition) 현상을 통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합니다. 기존 대비 훨씬 빠른 계산 속도와 더 많은 데이터 처리 가능합니다.
활용 분야: 자동차, 화학, 의료, 물류, 금융 등 복잡한 문제 해결이 필요한 산업에 적용 가능합니다.

 

다. 협력 내용 및 전략
기술 개발: IBM 양자컴퓨팅 시스템 활용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합니다.
교육 및 역량 강화: IBM의 기술 교육 지원하고 IBM 주최 컨퍼런스 및 포럼 참여로 전문성 확보했습니다.
도구 활용: IBM 클라우드를 통해 양자컴퓨팅 시스템 및 소프트웨어 개발 도구(Qiskit) 사용하고 Qiskit: 양자정보과학 툴킷으로 양자 알고리즘 및 애플리케이션 개발 지원합니다.

 

라. 양자컴퓨팅의 기대효과
산업 혁신: 기존 컴퓨팅 한계를 초월한 문제 해결 가능성이 높고 다양한 산업에서 데이터 처리 속도와 효율성 극대화합니다.
미래 기술 준비: 인공지능 및 디지털 전환 등 미래 기술의 발전 가속화하고 커넥티드 카, IoT, 로봇 등 차세대 기술 기반 강화 예정입니다.

3. 케이티

KT와 신한은행의 양자보안통신망 실증
가. 핵심 내용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양자보안통신망 구축합니다.
금융망 보호를 위해 양자암호(QKD)와 양자내성암호(PQC)를 결합한 통신망 실증하고 있습니다.
물리계층: 양자키분배(QKD) 기술 적용합니다.
응용계층: 양자내성암호(PQC) 알고리즘 적용합니다.
목적은 양자컴퓨터 위협에 완벽 대응 가능한 네트워크 구축과 금융망의 보안성을 강화하고 차세대 양자보안 기술의 상용화 가능성 검증합니다.

 

나. 기술적 특징
QKD (Quantum Key Distribution): 양자 특성을 이용해 해킹이 불가능한 암호 키를 생성 및 분배합니다. 통신 채널 도청 시 이를 즉시 감지 가능을 가집니다.
PQC (Post-Quantum Cryptography): 양자컴퓨터의 연산 능력에도 안전한 암호 알고리즘입니다. 기존 네트워크와 호환되며 양자컴퓨터 위협에 대비 가능합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장점: QKD와 PQC의 결합으로 보안성과 실용성을 모두 확보. 양자컴퓨터 위협에 대한 다층 방어 체계를 제공합니다.

 

다. 글로벌 협력 및 기술 진출
KT는 글로벌 기업과 협력하여 국내 양자암호 기술의 해외 진출을 추진 중입니다.
KT가 개발한 양자보안 기술은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번 실증은 한국 양자암호 기술의 상용화와 글로벌 표준화 가능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라. 관련 시장 전망
양자보안 통신망은 금융, 국방, 의료 등 보안이 중요한 모든 산업에 필수 기술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글로벌 양자암호 시장은 급성장 중이며, 한국 기업들이 선도적 역할을 할 기회가 있습니다.

4. 삼성SDS

양자컴퓨팅 시대에 대비하여 양자내성암호(PQC) 기술 연구 및 전환
가. NIST 주관 PQC 전환 프로젝트 참여: 삼성SDS는 미국 표준기술연구소(NIST) 산하 사이버보안센터(NCCoE)가 주관하는 '양자내성암호 전환 프로젝트(Migration to PQC)'에 국내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참여하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에는 아마존웹서비스(AWS), 시스코, 마이크로소프트 등 13개 글로벌 기업이 함께하고 있습니다.

나. 암호 알고리즘 탐지 기술 개발: 삼성SDS는 양자컴퓨터의 발전으로 기존 공개키 암호 체계가 위협받을 수 있다는 점을 인식하고, 이를 탐지하고 양자내성암호 체계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과 제품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다. 보안 연구팀의 전문성: 삼성SDS 연구소의 보안연구팀은 양자내성암호와 같은 암호기술, 개인정보보호 강화 기술, 클라우드 보안 기술 등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특히, 보안알고리즘Lab은 양자내성암호 원천 기술 및 전환 기술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5. 드림시큐리티

양자컴퓨팅 시대를 대비하여 다양한 첨단 암호기술의 연구와 상용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가. 양자내성암호(PQC) 개발 및 상용화: 드림시큐리티는 양자컴퓨터의 발전으로 기존 RSA 공개키 방식 알고리즘이 취약해질 것을 대비하여, 양자내성암호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커넥티드카(V2X), 사물인터넷(IoT) 등 다양한 분야에 안전한 보안환경을 구축하고자 합니다. 

 

나. 경량 암호알고리즘 연구: 사물인터넷(IoT)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경량 암호알고리즘을 개발하여, 자원 제한적인 디바이스에서도 효율적이고 안전한 암호화 기술을 제공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다. 암호기술 표준화 및 검증: 드림시큐리티는 국가암호검증제도(KCMVP) 컨설팅, 해외 암호검증(CMVP) 획득, 유관 기관과의 암호기술 표준화 등을 통해 암호기술 산업의 선진화를 이끌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암호모듈을 개발하고, 다양한 운영환경에서의 적용성을 높이고자 합니다.

양자암호통신 시장 진출: 2025년 세계 시장 규모가 9조 원으로 추정되는 양자암호통신 시장을 목표로, 드림시큐리티는 양자 키 분배 기술(QKD) 등 기반 기술을 개발하여 보안 플랫폼으로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