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 프레스티지 바이오 요약
시가총액: 약 9,381억 원
상장주식수: 60,096,155주
52주 최고가: 19,970원
52주 최저가: 7,690원
주가수익비율(PER): 현재 적자 상태
주당순이익(EPS): -548원
배당수익률: 배당금 지급 내역이 없음
나. 회사 개요 및 주요 사업 부문
회사 개요
전문 분야: 바이오시밀러 및 항체 신약 개발
상장: 2021년 2월 5일, 한국 유가증권시장 상장
백신 사업 진출: 2021년 COVID-19 대유행 계기로 백신 사업 개시
1. 바이오시밀러 사업부문
HD201 - 투즈뉴(Tuznue)
허셉틴 바이오시밀러
진행 상황:
2022년 9월 EMA 품목허가신청 철회 → 2023년 7월 EMA 재신청
2024년 7월 판매승인권고(Positive Opinion) 획득
HD204 - 아바스틴 바이오시밀러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중 (17개국)
계획: 데이터 확보 후 FDA 및 EMA에 품목허가 신청 예정
PBP1502 -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2023년 임상 1상 완료
2024년 호주에서 임상 1상 진행 중
전략: 임상 1상 안전성 확인 후 임상 3상 병행 개발
기타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신규 파이프라인 추가로 제품군 확대
2. 항체 신약 사업부문
PBP1510 - Ulenistamab (췌장암 치료제)
특성: PAUF 중화로 암 진행/전이 차단 및 기존 항암제와의 상승 효과 기대
진행 상황:
미국, 유럽 등에서 임상 1/2a상 진행 중
13개국 특허 획득, 10개국 특허 심사 진행 중
PBP1710 - Anti-CTHRC1
특성: CTHRC1 중화로 암 전이 및 증식 억제
진행 상황:
희귀의약품 신청 준비 중
2023년 한국 및 남아프리카공화국 특허 취득
기타 항체 신약 파이프라인
희귀질환 및 미충족 수요 질환 타겟 연구
이중 항체, 융합 항체 등 신기술 적용
3. 백신 사업부문
진출 배경: COVID-19 이후 백신 위탁생산 및 자체 개발 목표
진행 상황:
글로벌 백신 개발사와 협력 논의
연구 인력 및 시설 투자 지속
4. CDEMO 사업부문
운영 주체: 프레스티지바이오로직스㈜
서비스:
첨단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
개발 단계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Easy to Modify/Adapt 시스템 도입
회사는 바이오시밀러, 항체 신약, 백신 및 CDEMO 사업을 통해 글로벌 바이오 의약품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며 지속적으로 연구개발과 협력체계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다. 주요 제품 현황 요약
I. 바이오시밀러 파이프라인
번호 제품명 파이프라인 주요 적응증 개발현황 특허 만료 (유럽/미국)
1 허셉틴 HD201 유방암, 전이성 위암 등 글로벌 임상 3상 완료, EMA 판매 승인 권고(2024년 7월)
2 아바스틴 HD204 유방암, 폐암, 대장암 등 글로벌 임상 3상 진행 중
3 휴미라 PBP1502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 등 스페인 1상 완료(2023년), 호주 1상 진행 중
4 프롤리아 PBP1601 골소실, 골다공증 등 전임상 진행 중
5 아일리아 PBP1602 황반부종, 망막병증 등 전임상 진행 중
6 솔리리스 PBP1603 비정형 용혈성 요독증후군 세포주 개발
7 옵디보 PBP2101 흑색종, 요로상피세포암 세포주 개발
8 키트루다 PBP2102 흑색종, 비소세포폐암, 요로상피암 세포주 개발
II. 항체신약 파이프라인
번호 제품명 파이프라인 주요 적응증 개발현황 특허 만료
1 췌장암 신약 PBP1510 췌장암, 난소암 미국 FDA 희귀의약품 지정, 글로벌 1/2a상 진행 중, FDA 패스트트랙 지정(2023년 1분기) 해당 없음
2 고형암 신약 PBP1710 난치성 고형암 연구용 세포은행 생성 완료, 전임상 진행 중 해당 없음
주요 특징:
총 12개 파이프라인(바이오시밀러 10종, 항체신약 2종).
바이오시밀러는 글로벌 임상 3상 및 EMA 승인 절차 진행 중.
항체신약은 희귀의약품 지정 및 글로벌 임상 진행 중.
라. 재무정보
마. RIM 모델 기준 추정 주가
주당순이익(EPS): 회사의 최근 주당순이익은 -1,170원입니다.
주당순자산가치(BPS): 최근 보고된 주당순자산가치는 5,000원입니다.
자기자본비용(COE): 한국의 무위험이자율이 1.72%, 시장위험프리미엄이 11.41%, 그리고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의 베타가 1.0624로 추정
CAPM을 통해 COE를 계산,
COE = 무위험이자율 + 베타 × 시장위험프리미엄 = 1.72% + 1.0624 × 11.41% = 13.85%
성장률: 5%, 지속성장률: 2% 가정
RIM 모델에 따르면,
EPS₁ = 현재 EPS × (1 + 성장률) = -1,170원 × (1 + 5%) = -1,228.5원
1년 후 잔여이익: 예상 EPS에서 자기자본비용을 차감하여 계산합니다.
잔여이익₁ = EPS₁ - (COE × BPS) = -1,228.5원 - (13.85% × 5,000원) = -1,228.5원 - 692.5원 = -1,921원
5년간 잔여이익의 현재가치 합: 각 연도의 잔여이익을 현재가치로 할인하여 합산합니다.
PV(잔여이익) = Σ [잔여이익ₜ / (1 + COE)ᵗ] (t=1 to 5)
RIM 모델 추정 프레스티지 바이오 주가: -5,500원
현재 EPS가 마이너스를 기록하고 있어 재무적으로는 가치가 없는 주식으로 판단됩니다. 주식투자에 대해서는 신중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