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과목 신용상담을 위한 재무관리
Part.1 가계재무관리에 대한 이해
CHAPTER 01 가계재무관리의 기초
가계재무관리의 의의
- 재무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돈을 벌고 이를 효율적으로 소비함으로써 가계의 복지를 달성해나가는 전 생애에 걸쳐 지속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과정
- 직업의 선택과 소득의 획득
- 효율적인 소비의 실천
- 재무적 안정의 구축
가계재무관리의 필요성
- 기대하는 생활 수준의 달성
- 소득과 지출의 불일치 적응
- 예기치 못한 위기에 대응
- 사회·경제적 환경 변화에 적응
가계재무관리의 실제
가계재무관리 과정
제1단계: 관련자료수집 및 재무상태의 평가
*양적인 자료는 인적사항(직업, 가족사항 등), 예금, 대출, 주식 채권 및 펀드, 부동산 등 자산관련 자료를 비롯하여 소득, 보험, 세금 등과 관련된 자료로 일반적인 상담양 식에 포함되는 내용
*질적 자료는 재무목표의 우선순위, 위험인내수준, 화폐나 신용이용에 대한 태도, 지출통제능력 혹은 중독구매성향, 저축의 어려움 등에 관련된 내용
*고객의 재무상태를 파악하고 분석: 자산상태표, 가계수지상태표
제2단계: 재무목표의 설정
- 성공적인 재무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작업
- 현재 재무상태와 고객의 가족상황, 가치관, 시장경제 상황 등에 따라 달라짐
- 목표의 달성 시기에 따라 단기(1년 이내), 중기(1~3년), 장기(3년 이상)으로 나뉜다.
- 현실적, 구체적, 측정 가능하게 기술
- 목표의 우선순위뿐만아니라 목표달성을 위한 행동까지 포함
*구체적인 재무목표 설정
악성 단기 부채 상환 > 긴급 예비비 마련 > 장기 부채 상환 > 저축 > 투자
*재무목표의 주요 요소
Specific: 구체적
Measurable: 측정 가능한
Attainable: 달성 가능한
Relevant: 가치와 맞는
Time-related: 기간이 정해져 있는
제3단계: 재무목표 달성을 위한 대안모색 및 평가: 기회비용과 위험에 대한 평가 고려
제4단계: 재무행동 계획의 실행: 자기통제와 융통성이 필요
제5단계: 재무행동 계획의 재평가와 수정: 지속적인 반복과정
재무상태평가표 작성 및 분석의 실제
자산상태표의 작성
가계수지상태표
재무상태의 분석 및 평가: 가장 중요한 지표는 가계소득
*재무 비율
- 안정성 지표: 가계수지지표, 비상자금지표, 위험대비지표, 부채부담지표
- 성장성 지표: 저축성향지표, 투자성향지표, 유동성지표
예산세우기
- 주택자금상환액이나 할부금, 카드대금, 월세 등 고객이 잘 알고 있는 지 출을 먼저 파악한 다음 다른 고정지출 확인
- 가계의 필수적인 지출을 먼저 알아보며, 가스나 전기, 수도요금, 식비 등 변동지출 확인
- 욕구적 지출의 특성을 갖는 외식비, 교통비와 통신비, 여가, 오락, 취미활동 및 기타 개인적인 지출 확인
- 예산을 잘 실행하기 위해서는 ‘여유자금’을 예산에 포함시켜야 한다.
가계재무관리 관련 경제개념
기초 경제개념
기회비용: 하나의 선택을 위해 다른 선택을 포기함으로써 발생하는 손실
한계효용: 소비자가 재화나 용역의 소비량을 1단위 추가 소비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만족감
돈의 시간가치: 시간이 지남에 따라 돈에 이자가 붙거나 물가 상승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대되는 돈의 가치
외부 경제환경
경기: 전반적인 경제 상태
경기변동(경기순환): 확장 > 수축 > 회복 > 확장 > 수축 > 회복 반복, 확장기 = 호황기, 수축기 = 불황기
실업: 일할 의사와 능력을 가진 사람이 일자리를 갖지 않거나(자발적 실업) 갖지 못한 상태(비자발적 실업)
실업률 = 만 15세 이상 경제활동인구 중 실업자가 차지하는 비율
실업자: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취업하지 못한 자
비경제활동 인구: 취업할 의사가 없는 사람, 예로는 주부, 학생, 군인, 환자, 교도소 수감자, 구직활동을 포기한 실망노동자
금리: 돈에 대한 가격, 자금에 대한 수요가 공급보다 많으면 금 리는 상승하고 반대로 수요보다 공급이 많으면 하락
인플레이션: 물가수준이 상승하는 현상
디플레이션: 물가가 하락하고 경제활동이 침체되는 현상